안녕하세요. 오늘은 배낚시에서 사용되는 합사와 대상어종별로 몇 호의 합사를 준비하면 좋은지에 대해 글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1. 합사란 무엇인가?
합사란 여러 가닥의 가는 실을 꼬아 만든 낚싯줄로, 선상낚시에서 원줄로 주로 사용됩니다. 4 합사, 8 합사, 12 합사 등 숫자는 실의 가닥 수를 의미하며, 숫자가 높을수록 줄이 더 매끄럽고 감도와 강도가 우수합니다. 높은 인장강도와 긴 수명 덕분에 경제성도 뛰어나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2. 합사의 장점
선상낚시에서 합사를 사용하는 이유는 대표적으로 인장강도와 감도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1) 감도 측면에서 유리하다
합사는 늘어남이 거의 없어 바닥의 변화나 어신(입질)을 아주 민감하게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 쭈꾸미가 아주 살짝 타고 올라오는 입질도 낚싯대를 통해 손끝까지 느낄 수 있습니다.
(2) 인장강도가 우수하다
같은 굵기의 나일론 줄에 비해, 합사는 2~3배 이상 강한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가는 줄로도 큰 고기를 노릴 수 있는 여유가 생기게 됩니다.
(3) 조류 저항이 적다
합사는 얇고 가벼워서 조류의 저항을 덜 받습니다.
선상낚시는 대부분 수직 낚시이기 때문에 수평 저항보다 수직 조작력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이점으로 인해 합사는 빠르게 바닥을 찍고, 정확한 수심층 공략이 가능합니다.
(4) 수명이 길고, 경제적이다
합사도 브랜드나 코팅 유무에 따라 가격은 다르지만, 300m 기준으로 약 5만 원을 전후로 꽤 괜찮은 제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한 달에 1~2회 출조하는 조사님이라면 1년은 충분히 사용 가능합니다.
(5) 수심파악에 유리하다
요즘은 수심체크릴도 많지만, 대부분의 합사는 10m마다 색이 바뀌는 멀티컬러로 출시되고 있어 수심체크릴을 구입하지 않아도 입질이 오는 수심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입질 수심층을 파악해야 하는 한치낚시나 고등어 지깅 등 다양한 장르에서 사용됩니다.
3. 합사의 단점
(1) 내마모성이 약해 쉽게 터질 수 있다
합사는 구조상 실을 여러 가닥 땋아 만든 선이라서, 바위나 배의 닻줄, 갯바위 같은 마찰에 매우 약합니다. 특히 바닥이 험한 포인트에서는 굴껍데기나 돌에 스치기만 해도 바로 터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쓸림으로 인한 터짐을 방지하기 위해 카본으로 된 쇼크리더를 사용합니다.
(2) 매듭에 약해서 라인이 터질 수 있다
합사는 표면이 매끄럽고 미끄러워서, 매듭 부위에서 인장강도가 크게 떨어집니다.
낚시 중 걸었던 큰 어종이 매듭 부위에서 줄을 끊고 사라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3) 강풍에 쉽게 흔들린다
합사는 가볍고 부력이 있는 편이라, 강풍이 불거나 물결이 거셀 때 줄이 휘청거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풍이 불면 여유줄(슬랙라인) 많이 생기게 되어 그 결과 바닥 찍기도 어려워지고, 채비 조작감도 떨어지게 됩니다
3. 대표 장르 합사 호수 및 권사량
낚시 장르 | 합사(P.E) | 권사량 (필요한 양) |
쭈꾸미, 갑오징어 | 0.6호~1.0호 | 100m |
광어 다운샷 | 1.0호~1.2호 | 150m |
생미끼 외수질 | 1.5호~3.0호 | 200m |
문어 | 2.0호~3.0호 | 200m |
타이라바 | 1.0호~1.2호 | 300m |
슈퍼라이트지깅 | 1.0호~2.0호 | 150m |
지깅 / 파핑 | 4.0호~6.0호 | 300m |
우럭 침선(외줄) | 4.0호~6.0호 | 200m |
갈치(텐야,텐빈) | 0.8호~1.0호 | 200m |
한치(오모리그) | 0.8호~1.0호 | 200m |
4. 마무리
권사량이 부족하면 여에 쓸려 순식간에 50~100m의 합사가 손실되거나, 예기치 못한 대형 어종이 드랙을 치고 나가 줄이 버티지 못하고 터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예비줄이 없을 경우 낚시를 중단해야 하는 최악의 상황도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보통 스풀 한 개에 최소 200m 정도의 권사를 추천하며, 보조 스풀이나 합사 릴 교체 툴을 함께 준비하면 훨씬 여유 있고 안정적인 낚시가 가능합니다. 낚시는 준비가 80%라는 말처럼, 권사량 체크는 필수입니다.
'낚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어 다운샷 입문 가이드: 준비물, 기본 운영법, 주의사항까지 (1) | 2025.04.26 |
---|---|
선상낚시 자리의 진실 – 어느 자리가 잘 잡히나요? (조류, 바람, 선장님 운영 스타일) (1) | 2025.04.23 |
선상낚시 출조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선상 에티켓 5가지 (1) | 2025.04.18 |
선상낚시 베이트릴 종류, 스펙, 기어비, 드랙력, 베이트릴 선택 방법 (0) | 2025.04.18 |
2025 어종 별 금어기, 금지체장 의미, 처벌규정, 지속가능한 낚시 (2) | 2025.04.16 |